지속가능경영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 SK바이오팜이 주도합니다.
Sustainable Partnerships
SK바이오팜은 협력사 ESG 리스크 관리 정책을 기반으로
협력사의 지속가능성을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Management
SK바이오팜은 공급망 내 ESG 잠재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이사회 수준에서 자사 공급망 관리 정책 및 실행 사항의 체계적인 검토를 실시하며,
공급망 ESG 관리 정책을 기조로 주요 협력사로부터 ESG 가이드라인 서명을 수취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가능한 파트너십을 촉진하고, 동반성장을 구축하기 위해 소통 채널을 관리하고 협력사 대상의 교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Targets


- 2023
- 모든 주요 협력사 대상의 PSCI 감사 실시 (2023년 10월 기준, 주요 협력사의 80% 감사 완료)
- 모든 주요 협력사에 대한 ESG 리스크 평가 실시
- 2024
- PSCI 감사 정례화
- ESG 리스크 관점의 공급업체 분류
- 시정조치 계획의 검증 및 지원
- 2025
- 추가적인 PSCI 정기 감사 실시
- 정기적인 ESG 리스크 평가
- 입찰 시스템(e-Pro)을 통해 ESG 가이드라인 준수에 대한 모든 협력사의 서명 수취
Performances
공급망 리스크 관리를 위한 이니셔티브 참여
SK바이오팜은 2022년 4월 국내 제약사 최초로 Pharmaceutical Supply Chain Initiative(PSCI)에 가입하였습니다. 협력사의 과거 이력과 PSCI 감사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PSCI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으며, 당사 협력사를 위한 단기 및 장기 PSCI 감사 전략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또한, SK바이오팜은 PSCI의 주요 5개 분야인 윤리, 인권/노동, 보건/안전, 환경과 관리 시스템을 준용하여 공급망 ESG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ESG 리스크 평가 및 감사
SK바이오팜은 협력사 ESG 관리 정책을 기반으로 2년마다 ESG 리스크 평가를 실시하며 글로벌 수준의 규범을 준수한 표준 및 기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협력사 리스크는 4개 분야(윤리, 인권/노동, 보건/안전, 환경)에 대해 평가하고 있습니다공급망 리스크 완화 계획
잠재적인 공급망 리스크 대응을 위해, SK바이오팜은 제품 생산 프로세스의 여러 단계에서 많은 CMO들을 포함한 다양화 전략을 구축하고 실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단일 협력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 공급 중단 발생에도 글로벌 수요에 충족하는 지속적인 제품 공급이 적시에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급 안정화를 보장하고 있습니다.협력사의 윤리 실천 서약 수취
SK바이오팜은 반부패와 컴플라이언스 준수를 위해 모든 협력사의 윤리 실천에 대한 서약을 수취하고 있습니다. 잠재 협력사가 입찰을 원하는 경우, 당사 조달 플랫폼에 등록하기 위한 필수조건 중 하나로 윤리 실천에 대한 서약을 요청 받고 있으며, 플랫폼을 활용하지 않는 그 외 협력사의 경우에도 서약을 직접 제출해야 합니다. SK바이오팜은 현재 국내 기업에 한하여 윤리 실천에 대한 서약을 받고 있으나, 2023년 내에 해외 CMO로부터도 서약을 받을 예정입니다.동반성장 정책
SK바이오팜은 원료공급업체·CMO·자재구매업체 등과 협력하고 있으며,
4가지 실천안을 도입하여 성실히 시행하고 있습니다.
1. 구매입찰시스템을 통한 업체 선정
전자 구매 입찰 시스템을 통해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업체를 선정합니다.2.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 환경 조성
구매 정책에 의거해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 환경을 조성하고, 내∙외부 컴플라이언스 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3. 다양한 교육기회 지원
동반성장 가능한 커뮤니티를 구축∙강화하기 위해 협력사에 다양한 교육기회를 지원하고 있습니다.4. 협업 과제 발굴
중점 관리 협력사와 협력 과제를 발굴하고 상업화까지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협력사 관리 정책
SK바이오팜은 FDA·EMA 등 글로벌 규제 당국의 엄격한 품질 및 안전 기준에 입각해 협력사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협력사 관리 영역
4대 영역별(환경, 보건/안전, 노동/인권, 윤리) 중점 관리 항목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협력사 행동규범을 수립했습니다.ESG 리스크 관리 대상 식별 및 준수∙적용 방식
거래규모 등을 기준으로 중점 관리 협력사를 선정하고 신규 계약 체결 시 ESG 가이드라인 권고 혹은 서명, 준수를 요청합니다.ESG 리스크 평가, 실사 주기 및 방식
전문기관∙자가평가를 통해 중점 관리 협력사를 대상으로 2년에 한번씩 ESG 가이드라인 권고∙준수 여부를 평가합니다.개선 요구 및 지원 방식
개선이 필요한 경우, 협력사에 12개월 내 계획 제출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또한 협력사 적절하게 계획을 실행하고 있는지 여부 확인을 위해 실사를 진행하며, 차년도에 진행 여부 점검 및 관련 교육∙컨설팅을 지원합니다.동반성장 지원 로드맵
SK바이오팜은 협력사와 동반성장 하기 위하여 2030년을 목표로 로드맵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성실히 이행하고자 합니다.
2024년 : 동반성장 프로그램 및 협업 수립
중점관리업체 대상 PSCI audit 비용 지원 프로그램 등을 통한 업체 경쟁력 향상 도모협력사 교육 프로그램 확대
2027년 :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 문화, 동반성장 프로그램 확대 및 협업 확대
내·외부 컴플라이언스 활동을 강화하여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 문화 확립중점관리업체 외 협력업체에 대한 동반성장 프로그램 확대
주요 협력업체와 잠재성 높은 향후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협업하여 동반성장 도모
2030년 : 공동기술개발/동반성장펀드 매출액 0.2% 수준 확대
공동기술개발을 통한 BP사 매출액 증대 지원교육/복지/경영지원 규모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