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경영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 SK바이오팜이 주도합니다.
SHE Management & Net Zero
SHE (Safety, Health and Environment) Management
또한 모든 이사회 안건에 대해 대기 및 수질오염물질 배출, 폐기물, 온실가스, 에너지, 용수 등과 관련한 환경영향평가절차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고경영자는 환경경영에 대한 책임자로서, 내부 규정인 환경 매뉴얼에서 환경방침 및 환경목표의 적절성을 보장하도록 권한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환경 목표 달성과 법규 등의 준수, 지속적 개선 과제를 포함하는 경영 검토 승인을 최고경영자의 책임과 권한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모든 연구 단계에서의 환경관리 강화를 위해 사내/사외이사 및 기타비상무이사로 구성된 회의체인 ESG/전략위원회를 연 1회 이상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정책 변화 등에 따른 리스크와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중요한 의사결정 사항은 이사회와 경영진에 보고합니다.
본사는 대표이사 및 안전보건관리책임자로 선임된 신약연구부문장(Chief Technology Officer, CTO)의 리더십 하에 안전보건환경계획을 수립·실행하고 있으며, SHE 전문인력이 SHE 경영 실무를 추진 할 수 있도록 SHE 경영 주관부서를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Targets
환경 유해물질 단기/중장기 감축목표 Roadmap
1) 단기 감축목표(~‘25년)핵심 목표 | 2023년 성과 | 2024년 계획 |
---|---|---|
2025년까지 유해물질 배출량 매년 1% 감축 | · 2023년 폐기물 발생량 약 23.6ton으로 목표치 41.4ton 대비 약 43% 감축 달성 |
· 2024년 폐기물 발생량 목표 23.3ton 수립 (전년 대비 약 1% 감축) |
구분 | 단위 | 2026 감축목표 | 2028 감축목표 | 2030 감축목표 | 2035 감축목표 |
---|---|---|---|---|---|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 | % | -44 | -56 | -66 | -80 |
수질 오염물질 배출량 | % | -44 | -53 | -62 | -74 |
폐기물 배출량 | % | -41 | -50 | -58 | -71 |
※ 집약도(kg/십억원) = 유해물질 배출량(kg) / 제품 등의 매출액(십억원)
안전·보건 관리체계 선진화 Roadmap
구분 | Phase1 (2023) | Phase2 (2024) | Phase3 (2025) |
---|---|---|---|
안전 관리 체계 선진화 목표 | · 중대재해처벌법 의무 준수 체계 고도화 · 협력업체 등록 심사 체계 구축 |
· 구성원 안전보건 참여 환경 강화 · 협력업체 선정평가 체계 구축 |
· 구성원 주도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지속 개선 · 협력업체 SHE 관리 체계 고도화 |
보건 관리 체계 선진화 목표 | · 보건 관리 체계화 기초 조사 · 밀폐공간 보건 작업 프로그램 구축 |
· 보건관리 체계화 방안 수립 · 밀폐공간 보건 작업 프로그램 고도화 |
· 보건관리 체계화 정책 및 프로그램 시행 · 밀폐공간 보건 작업 프로그램 평가 |
Performances
임직원 안전 및 보건 관리 활동
SK바이오팜은 구성원의 안전∙보건 이슈가 인적 피해와 기업 평판 하락으로 직결될 수 있는 중대 이슈임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업장 내 모든 설비, 작업 및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연 1회 이상 진행하고 있으며, 현장실사를 통해 가능한 모든 유해∙위험 요인을 파악하며, 회사 내규에 근거하여 위험성을 평가한 후, 해당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 대책을 마련∙이행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안전보건 제안제도'를 운영하여 구성원들이 발견한 잠재적 위험을 수집하고 평가에 반영함으로써 휴먼 에러 및 경미한 재해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있으며, 구성원 대상 비상대응사고 훈련을 연 1회 이상 실시하여 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1) 위험성 평가 실적 (‘23년 기준)총 위험성 평가 건수 | 위험성 감소 대책 수립 건수 | 주요 개선 실적 | 주요 재발방지 대책 | ||
---|---|---|---|---|---|
목표 | 완료 | 개선율 | |||
253 | 16 | 16 | 100 |
|
|
No. | 훈련 시나리오 | 주요 훈련 내용 |
---|---|---|
1 | De-freezer 냉장고 온도 상승/과열 | 전력 차단기 교체, 누전 부위 수리, 보관 시약 이동 |
2 | 폐수 저장 탱크 유출 | 유출 부위 확인, 유출 폐수 회수 작업 |
3 | 응축수 저장 탱크 유출로 인한 설비 고장 | 응축수 회수 작업, 고장 설비 복구 |
안전보건 관리 시스템
SK바이오팜은 사업장 안전·보건 이슈가 인적 피해와 기업 평판 하락으로 직결될 수 있는 중대 이슈임을 인식하고 있으며, 분기 1회 이상 개최되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통해 다양한 안전·보건 이슈에 대한 구성원 의견을 청취하고 적극 관리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안전관리 및 보건 체계 선진화와 관련된 3개년 중장기 목표를 수립하여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성원 및 협력사 직원의 안전보건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SHE 관리 시스템 운영
SK바이오팜은 연구시설을 보유한 본사를 포함한 국내∙외 사업장의 SHE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국제 기준을 준용하여 컴플라이언스와 규제 사항에 대한 준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정기적인 SHE 컴플라이언스 감사를 실시합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SHE 관리 시스템의 지속적인 향상을 추구하고 있습니다.SHE 경영 컴플라이언스 감사
SK바이오팜은 국내∙외 사업장 중 연구시설을 보유한 한국 본사에 대해 안전보건 경영시스템(ISO45001 : 2018) 및 환경경영 시스템(ISO 14001 : 2015)을 취득하였 고, 국제표준시스템에 따라 주기적인 안전∙보건∙환경 법규 준수 여부 및 컴플라이언스 감사를 수행하여 SHE 관리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구분 | 실시 주기 | 주관 |
---|---|---|
최초심사 (Initial Stage1+2) | 최초 1회 | 외부 심사기관(LRQA, KFQ) |
내부심사 (Internal Audit) | 매년 1회 | SHE 운영부서 |
사후관리심사 (Surveillance) | 매년 1회 | 외부 심사기관(LRQA, KFQ) |
재인증심사 (Re-Certification) | 1회/3년 | 외부 심사기관(LRQA, KFQ) |
획득 국제 인증
안전보건/환경 경영인증 현황인증명 | 인증범위 | 취득일 | 심사기관 |
---|---|---|---|
ISO 45001 (안전보건경영 시스템) | 본사 : 신약의 개발 (Completed 100% : 1 out of 1 site) |
2023.5.11 | LRQA |
ISO 14001 (환경경영 시스템) | 2022.5.23 | 한국품질재단(KFQ) |
안전보건/환경 경영 인증서
-
환경 경영시스템(ISO 14001)
-
안전보건 경영시스템(ISO 45001)